2014. 3. 4. 10:37



1. 센진방패대가 (일명:하스딩거) : 5체라서 쉽게 안죽음

2. 수액괴물 : 무기없애주고 3공이 좋음.

3. 공격대장 : 모든 하수인공격력 +1 (위니덱에 참 좋음)

4. 무너진 태양성직자 : 중요카드 하나 살리는 1+1 버프

5. 스톰윈드 용사 : 모두 1+1 시키는 옵션이 상당히 좋음

6. 서리늑대 부족 : 하수인만큼 + 옵션은 저코하수인이 많은 무과금유저에게 참 좋다고 봅니다. 

7. 돌주먹 오우거 : 특별한 옵션은 없지만, 기본능력이 매우 강력합니다. 

8. 서리바람설인(일명:누누) : 4코에 4-5 , 4체가 주문에 취약한점이 있는데 그걸 벗어난 카드

 

누구나 받을수 있는 카드입니다.

그중에서 참 좋은 거라고 생각되고, 입상덱에도 잘 쓰이는 카드라고 생각됩니다.

 

무과금하시는 분들에게도 참 좋은 카드들 이라고 봅니다.

Posted by 카미유클로델
2014. 1. 27. 12:52

고수분들에게는 해당하는 글이 아닙니다.

다만, 이제 막 시작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적는 글입니다.

 

저도 이정도면 되겠지하고 마구 덤볐다가 와장창 깨지고 다시 배우고 있는 중이기 때문에

첨 하시는 분들은 시행착오를 조금이나마 줄이시라고 적는 글입니다.

 

우선, 저도 첨에는 저기저기 배우고 어느정도 파랑색 카드가 생기고 자신이 붙자

스스로 덱을 짜보기 시작했습니다.

 

첨에는 카드가 없어서 위니덱을 쓰고보니, 15등급 까지 쭉쭉 올라가더군요.

그래서 파랑색카드랑 전설도 생기면서 나름 덱을 짜서 해봤습니다.

20등급으로 쭉쭉 떨어졌습니다. (너프 때문인줄 알았습니다.)

 

모든 기존 지식 버리고 다시 모방덱을 짰습니다. 비트다운덱을 짜봤습니다.

10등급까지 쭈욱 올라가더군요;;;

(지금은 좀 떨어져서 12등급)

 

이유가 무엇인가를 곰곰히 생각해 봤습니다.

 

결론은 내린것은 

'카드등급이 높다고 무조건 좋은게 아니다. 카드들의 조화가 제일 중요하다.'

 

 

그래서 나름 생각나는 것을 적어봅니다.

 

---------------------------------------------------------------------------------------------

 

 

1. 기본덱을 다 갖추기 전에 대전으로 나오지 마세요. 상처받습니다.

 

2. 각 직업들을 10렙 정도까지는 해보세요. 기본 상대에 대한 이해를 얻습니다. 덤으로 골드로 법니다.

 

3. 다른 사람들의 덱을 따라해보세요. 첨에는 베끼면서 배우는 겁니다.

 

4. 위니덱->비트다운덱->빅덱 추천 코스 입니다. 위니덱:저코스트위주 덱, 비트다운덱:고효율저코스트 딜덱, 빅덱:고코스트 최고위력 덱(과금하지 않으면 힘듬)

 

5. 아무리 좋은 카드라고 할지라도 덱구성에 안어울리면 버려야 합니다. 아르고스와 은빛십자군 아깝지만 안씁니다. (빼고 나니 승율이 오르더라구요;; 제 덱에는 안 어울리더라구요)

 

6. 자기 직업에 어울리는 카드를 구성해야 합니다. 제 성기사는 도발카드가 없습니다.

 

7. 직업 고유카드를 잘 활용해야 합니다. 직업카드는 파랑색카드급 정도 되는듯 합니다.

 

8. 과금하실라면 일찍 하세요. 고통받다가 나중에 팍 하시는 것보다 첨에 해두시는걸 오히려 추천 합니다.

 

9. 무과금하실라면 상대방의 전설급카드에 대비 준비하세요. 전설급 잡아내는 카드 몇개 제작하셔야 합니다. 예:독뱀, 침묵, 각 직업의 고유기술등 

 

10. 마지막으로... 게임은 게임일뿐 스트레스 받지마세요. 상대방의 엄청난 콤보를 보시면 오히려 '박수' 쳐주세요. 상대방도 머리잘쓰고, 덱잘짜서 나름 만들어낸겁니다. 보고 배운다고 생각하시고 하시면 '박수&칭찬' 할수 있습니다.

 

 

이상 10가지를 두서 없이 적었습니다.

 

상세한 덱이나 콤보는 서서히 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한꺼번에 모든걸 하기에는 어렵거든요.

 

 

아무튼 하스스톤 오실걸 환영합니다.~

 

Posted by 카미유클로델
2013. 2. 8. 12:56

미생이라는 웹툰때문에 바둑에 관심을 가지시는 분이 꽤나 많으신거 같습니다.

(바둑만화는 아닌데 바둑 이야기가 은근 많이 나오죠)

 

입문하시는데 도움이 되실까 하고 글을 적어봅니다.

 

1. 바둑이란 게임은 입문하고 자리 잡는데 많은 인내를 필요로 합니다.

  - 룰은 간단하나 배워야 할것이 너무나 많습니다. 재미를 느끼기 까지는 오래 걸립니다.

 

2. 책이나 앱, 프로그램 외에는 배울만한 곳이 별로 없습니다.

 - 일반 기원은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나이대도 높을 뿐더러, 원장이 잘 가르쳐 주지도 않습니다.

   바둑학원은 초딩이 대세입니다. 성인반이 간혹있지만... 분위기에 붙히기 쉽습니다.

 

3. 입문서->포석->정석->중반->후반 순으로 배우시는게 좋습니다.

 - 그리고, 꾸준히 놓지 말아야할 것이 사활책입니다. 퀴즈풀이라고 생각하시고 꾸준히 해야 합니다. 스포츠로 따지면 웨이트 트레이닝이 사활풀이 입니다. 결국에는 바둑의 힘은 수읽기의 차이 입니다. 꾸준히 해야 합니다.

 

4. 왠만하면 손에 쥐고 하는 바둑판과 바둑알을 추천 합니다.

 - 프로그램이 잘 되어 있고, 실제로 바둑도 컴퓨터로 하지만... 손에 쥐고 바둑알을 놓는건 상당히 중요합니다. 꾸준히 해보시면, 생각보다 손이 먼저 가는 경험을 하시게 됩니다.(바둑 용어로 '손따라 두었다' 라고 합니다.) 이 방법의 장점은 바둑의 흐름을 익히게 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스포츠에서 잘하는 사람의 포즈를 따라하는것과 마찬가지 입니다.) 바둑알이 없다면, 마우스로 직접 놔보시길 추천합니다. (화살표로 똑똑 누르는건, 익혀지는데 시간이 더 걸립니다.)

 

5. 인터넷 바둑의 급수 등록은 최저급수로 등록하지는 않는다.

 - 여러 바둑 사이트가 있습니다. 18급, 30급 등 최저 급수가 있습니다만... 사기급수가 너무 많이 포진되어 있구요. 오히려 17급, 29급이 더 초보자가 많습니다. 처음에 등록할때는 17, 29급 등 최저보다 한단계 높게 하시는걸 추천합니다.

 

6. 모르는 내용이 나오더라도 무시하고 계속하자.

 - 배우다보면 모르는 용어, 이해가 안되는 설명이 많습니다. 그러나 상콤하게 무시하시구, 그냥 진행하세요. 나중에 이해하게 됩니다. 무리하게 전부 이해하려고 하면 골치만 아픕니다.

 

7. 책이 틀린거 같은데... 잘 모르겠다.

 - 책에 나온거 보다 내가 생각한게 훨씬 좋은거 같은데... 이해가 안된다면, 자신이 생각한것을 사용하세요. 나중에 그 이유를 알게되면서 발전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일명 넷마블 정석이라는.. 넷마블 유저들이 사용하는 잘못된 정석들이 있는데요, 그게 바둑초보자가 쉽게 착각하는 내용입니다.) 결국 그런 과정이 자신이 생각하고 발전하는 계기를 만들어 줍니다.

 

8. 좋아하는 프로기사의 기보를 많이 둬본다.

 - 누구나 자기가 좋아하는 기사, 기풍이 있습니다. 그런 사람의 기보를 복기(따라서 둬보는거)하고 살펴보면서 즐기시기 바랍니다. 프로기사의 기보를 따라하고 외우는건 정말 큰 도움이 됩니다.

 

 

 

9. 바둑의 급수는 계단식으로 올라가게 됩니다.

 - 책한권 봤다고 갑자기 올라가거나 그러지 않습니다. 여러가지가 융합되어서 자신의 것으로 체화됬을때 올라갑니다. 정석 100개 외웠다고 갑자기 그만큼 실력이 올라가는게 아닙니다. 배운 내용은 바둑내용에서 보면 일부분일뿐입니다. 여러가지가 모이고 모여서 한단계 올라가게 됩니다.

 

 

10. 마지막으로... 인내하시기 바랍니다.

 - pc 게임이 재미있는 이유는..쉽게 키우고 커가는 모습이 바로바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바둑이 어렵다고 하는 이유는 실력을 키우는 갭이 상당히 크고, 커가는 모습이 안보이기 때문입니다. 100패는 기본이라고 생각하시구 버티셔야 합니다. 이걸 버티시면... 평생 같이할 취미가 하나 생깁니다. 

 

 

 

이상 적어봤습니다만.. 오히려 진입장벽이 높다고 말하는거 같아서 조심스럽습니다.

그러나, 버텨내시면... 평생을 같이할 취미가 생깁니다.

스타, 와우가 재미있었지만.. 결국에는 중간에 끊기게 되죠.

바둑이라는 게임은 2000년이 된 게임입니다. 앞으로도 쭈욱 갈겁니다. 배워두시는거 좋은 일입니다.

 

저도 바둑을 배운지 20년이 넘었습니다. (초딩때 배움)

중간에 3년이상 안둔적도 있고, 신경을 안쓰기도 했지만, 간간히 하는 취미로 정말 좋습니다.

 

 

한번 해보시는거 추천드립니다.

Posted by 카미유클로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