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에 정보를 싣어 보내는 라이파이(Li-Fi)시대가 도래할 전망이다. 현재 와이파이보다 100배, LTE-A보다 60배 이상 빠른 속도를 가진 무선통신 기술. LED조명이 설치된 곳이면 어디든 광대역 데이터를 신속하게 보낼 수 있다. 미래시대의 정보교환은 어떤 모습일까?
'글타래'에 해당되는 글 224건
- 2016.09.12 비추는 빛에서 전달하는 빛으로, 라이파이의 시대
- 2016.09.12 온라인 교육 혁명, MOOC
- 2016.09.12 나의 주치의 '모바일 헬스케어'
- 2016.09.12 새로운 신소재, 탄소나노튜브
- 2016.09.12 죽음도 이제 선택의 문제다? 꿈의 유전자 치료
- 2016.09.09 스마트 워크, smart works
- 2016.09.09 모바일 하우스
- 2016.09.09 코딩과 미래
- 2016.09.09 사물인터넷 IoT, IoE
- 2016.09.09 우주개발 르네상스
MIT에서 만든 온라인 공개수업 '무크'는 2001년 부터 현재 2,100개 이상의 강좌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그 밖에도 대학의 무료강좌가 다양화되고 있으며, 수료증도 제공한다. 온라인에 기반을 둔 이 대학 강좌들은 미국 대학들을 중심으로 만들어지고 있지만, 그 수강생은 미국에 국한하지 않는다. 전 세계의 유능한 인재들이 이 강의를 통해 고등교육을 이수하는 미래가 오면서 개발 도상국을 비롯해 많은 국가들에 교육의 블랙홀이 예상되는데... 온라인을 통한 미래의 교육은 어떤 모습일까?
사물인터넷 시대에, 모바일의 발전은 의료사업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수 많은 센서가 건강상태를 체크하여 클라우드로 의사에게 전송하여, 체계적인 건강관리를 할수 있게 해줄 것이다. 모바일 헬스케어가 가져올 미래사회의 모습을 어떤 모습일까?
나노기술을 발전으로 암을 치료하는 로봇이나 피부를 재생시켜주는 고기능 화장품, 바이오센서를 이용한 기술들, 심지어 우주승강기까지 개발되고 있다. 완벽한 나노기술로 불리는 탄소나노큐브의 개발은 미래의 모습을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
하버드 피부연구소는 쥐의 DNA를 변경해 실제로 영화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처럼 늙은 쥐를 젊게 만들었다. 고령화 시대에 안티에이징은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중요한 과제 이며, 산업으로서의 가치도 크다. 미래에는 DNA 치료 기술로 노화가 사라질 수 있을까?
미래 일터의 가장 큰 변화는 '스마트 워크', 업무의 공간적 한계를 극복하고, 현장감을 극대화하여 언제 어디서나 업무를 볼 수 있는 Smart Works
IoT. 우리 주변의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부여해 스스로 정보를 수집하게 하고 다른 기기와 공유하며 적절한 결정까지 내리게 하는 진화된 ICT. 4.2 미래부가 공개한 `사물인터넷 기본계획안'에는 현재 2조3천억원 규모의 내수시장을 2020년에는 30조원으로 육성하고, 이용기업들의 생상성과 효율성을 30% 향상시켜 `초연결 디지털 플래닛'의 선도국가를 실현하겠다는 내용이 있었다. 장밋빛 청사진은 현실일까? 우리의 삶은 사물인터넷과 함께 편리해질 수 있을까?